아빠, 안녕? 감상 브릿G추천

대상작품: 명랑한 함진아비 (작가: 정비정, 작품정보)
리뷰어: 0제야, 23년 10월, 조회 44

지금은 대체로 그렇지 않지만, 이웃 간 소통이 활발하던 과거에는 마을마다 전해오는 괴담이 있었다. 모든 이의 입에 오르내릴 만큼 불가사의한 죽음이나 신비스러운 사고가 일어나면 사람들은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그것을 바라보곤 했다. 물론 누군가 위험에 처한다는 건 한편으로 안타깝지만, 어째서 멀쩡한 사람이 뭐에 홀린 것처럼 갑자기 골짜기에서 뛰어내렸는지, 왜 그이가 빠진 계곡에서는 물살이 다른 날보다 셌는지 추측이 꼬리를 물다 보면 때로 귀신과 유령의 힘이 가미된 이야기가 생기기 마련이다.

우선 사람들의 흥미를 끌고 나면, 그리고 한 세대 이상의 세월이 흐르면 그것이 진짜인지 가짜인지는 중요치 않게 된다. 이 산에서 죽은 누가 억울함을 풀지 못하고 원귀로 되살아나 집집을 돌아다니거나 저 개울에서 빠져 죽은 아이의 귀신이 물길을 흔들어 사람을 끌어당긴다는 등의 이야기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그곳 특유의 전설이 되곤 했다.

도시에도 괴담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시골 괴담과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전해진다. 최근 생산되는 도시 괴담은 개인의 창작이나 경험을 텍스트나 영상으로 다수에게 공개하는, 일방적인 경우가 많다. 그것들은 무한한 상호작용을 거치며 수정되거나 구전되지 않는다. 한 사람의 손끝에서 현대적이고 깔끔하며 기이한 괴담이 탄생할 수는 있어도 그것은 ‘민담’으로서 기능하지 못한다. 공동체가 해체되고 소통이 끊기고, 이웃의 경조사에 크게 관심이 없어진 도시에서 이야기는 생동하기 힘들다. 아주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사고의 소식을 한 겹 액정 너머로 듣는 일이 허다하고, 마을의 상징이라고 할 만한 장소는 점점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의 누군가에게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나요’라고 묻는다면 어쩌다 찾은 뒷산 입구나 근처의 문화재 안내문에서 읽은 내용을 띄엄띄엄 말해줄 것이다. 마을 사람들 모두가 공유하는 괴담은 이제 희귀하다. 누군가는 민담을 보존하려 하지만, 그들의 손이 닿지 않은 더 많은 이야기가 소멸의 길을 걷고 있다는 건 창작 괴담의 원형이 사라지는 것과 같아 안타까운 일이다.

신을 모신다는 나무와 요물이 된 빗자루, 하다못해 뒷간 귀신의 이야기도 정겨운 이유는 그것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구전’ 설화의 최대 특징은 많은 이의 입을 통했다는 것이다. 상대의 표정과 반응, 응답에 따라 이야기는 더욱 재미있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렇게 문자가 아닌 입으로 정제된 설화의 맛은 텍스트가 써내는 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구수하다. 모두의 입맛을 맞추는 이야기의 힘은 그곳에서 생긴다.

여기 아주 오래전, 이야기쟁이 친구를 기억하는 한 여성이 있다. 그 친구는 이사 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그녀에게 동네의 시시콜콜한 전설을 말해주곤 했다. “저 계단은 쓰지 마라. 일 년에 꼭 한 명씩 굴러서 죽는다. 저 집에선 불이 나서 일가족이 죽었다. 비 오는 날엔 우는 소리가 들린다.” 그 친구가 어째서 갑자기 생각나는 건지, 여자는 노쇠하여 기억이 띄엄띄엄한 아버지에게 친구와의 추억을 들려주기 시작한다. “우리 옆집에 내 친구. 은이”라고 다정하게 시작하는 회상은, 말 건네는 투와 평서문의 서술을 오가며 점점 깊이를 더한다.

은이, 그녀의 친구가 전해주던 괴담은 거의 ‘케케묵은 농담’이었다. 알고 보면 시시하기 짝이 없는 것들을 달변의 혀로 꿰어 내는 재주가 있던 모양이다. 언제나 ‘나’는 은이의 이야기에 넘어가는 쪽이었다. 그러고도 곧잘 그 말이 거짓인 걸 깨닫는 모양이었다. ‘나’는 언제부턴가 은이의 말을 그냥 이야기로 듣게 된다.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시시콜콜한 이야기. 하지만, 끝까지 그래서는 안 됐다. 은이의 괴담에는 진실도 있었으니.

이것은 ‘나’와 그의 친구 ‘은이’의 아주 오래된, 으스스하고도 충격적인 학창 시절에 관한 괴담이다.

 

 

밤에 혼자 걷지 마라. 함진아비가 따라온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