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하나의 요인으로 야기되는 공포심을 집요하게 자극하는 호러물입니다. 이야기가 집중적으로 파고드는 지점은 ‘정체불명의 소음’이라는 청각 이미지고요. 곱씹을수록 으스스해서 여러 번 읽어도 여전히 매력적인 작품입니다.
이야기 속에서 미스터리한 사건이 벌어지는 곳은 어느 건물 1층의 공용 화장실입니다. 주인공이 열린 문을 통해 화장실에 들어가자마자 갑자기 ‘그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지요. 소리는 곧 주인공의 내면에 커다란 균열을 일으킵니다. 그리고 이 균열에서 오는 불안감이 곧 작품의 동력이 됩니다.
웰메이드 호러물에서 으스스한 직감이 엄습하는 순간, 독자는 인물에게 양가적인 감정을 갖게 됩니다. 인물이 불길한 상황으로부터 즉시 도망쳐 나오길 바라는 동시에 그 안으로 더 깊숙이 들어가 미스터리의 정체를 밝혀주길 바라는 것이죠. 「그 소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인공은 화장실에서 소리가 들리자마자 돌아 나올 수 있었고, 그럴 여지도 충분했어요. 만약 그랬다면 이야기는 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되었겠죠. 어쨌거나 독자가 당장의 위기에서 벗어나 이야기 속 인물과 함께 안도하고픈 욕망이 들었다는 사실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왜냐면, 이상하게도 마음 한 구석에선 인물이 그 자리에 남아주길 바라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적어도 그 순간 독자는 양립 불가능한 감정을 동시에 느끼는 것이죠. 이것은 작품에 흐르는 불안감을 지탱하는 두 기둥이면서, 웰메이드 호러물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건이기도 합니다.
한편 작품이 구체적으로 공포를 자아내는 방식은 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기지에서 오고, 다른 하나는 미지에서 오지요. 사실 공용 화장실에서 나는 소음이라 봤자 뻔하잖아요. 처음에 주인공은 소리가 변기나 하수구, 배관 같은 곳에서 들려오는 것이리라 쉽게 짐작합니다. 하지만 칸막이 안에서 일을 보는 동안 소음은 히스테릭하게 변해가고, 기지의 외피는 그렇게 한 겹 벗겨집니다. 이제 주인공은 옆 칸에서 누군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거라 추측하고 겁에 질립니다. 하지만 일을 보고 나와 옆 칸 문을 열었을 때 텅 빈 내부를 확인하게 되지요. 두 번째 예상도 빗나간 겁니다. 이렇듯 이 이야기의 서스펜스는 익숙하고 합리적인 가설을 하나씩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쌓여갑니다. 그러는 동안 자연히 공포는 깊어지지요.
그러나 궁극적이고 근원적인 공포는 역시 미지로부터 찾아옵니다. 우리는 결국 소음의 정체를 알아낼 수 없습니다. 기지의 영역에서 가능한 해석을 총동원해도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는데, 그렇다면 남는 물음은 대체 ‘그것’의 정체가 뭐냐는 거예요. 모든 것이 평범한 일상에서 단 하나의 왜곡이 발생했을 뿐이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이 물음은 더욱 큰 힘을 갖게 됩니다. 생각해보면 이 작품은 기괴한 소리에서 오는 불안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른 모든 요소를 가지런히 정돈해둔 느낌이 있거든요.
인물이 처한 공간의 물리적 구조는 지극히 평범하고 안정적입니다. 화장실 입구에서 보면 가운데 접이식 문으로 가려진 공간을 기준으로 왼쪽엔 양변기 칸막이 세 개, 오른쪽엔 거울과 세면대가 배치되어 있지요. 한 명뿐인 등장인물의 동선은 이 좁은 공간을 빈틈없이 채움으로써 합리적 의심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습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 안에서 일어나는 균열이 더욱 폭발적인 불안감을 불러일으키게 되는 것이죠. 이건 그로테스크한 시각 이미지를 돌발적으로 마주했을 때 느끼는 불안과는 아주 달라요. 그리고 이것이 아마도 「그 소리」가 다른 호러물과 차별화를 시도할 수 있는 지점이겠죠.
흔한 일상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임에도, 왠지 이곳에서는 러브크래프트의 분위기가 물씬 풍겨옵니다. 결말이 가까워질수록 더 그렇고요. 사람을 이런 식으로 긴장시킬 수도 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