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르타 작가의 <캔 따는 소리>는 할로윈을 목전에 앞두고 있는 지금 읽기에 딱 적합한 단편이다. 켈트 족들은 한 해를 마무리할때가 되면 음식을 마련해 죽음의 신에게 제의를 올림으로써 죽은 이들의 혼을 달래고 악령을 쫓았다고 한다. 이때 악령들이 해를 끼칠까 두려워하여 자신을 같은 악령으로 착각하도록 기괴한 모습으로 꾸미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이 핼러윈 분장 문화의 기원이 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할로윈은 미국에서 스코틀랜드 ·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치르는 소규모 지역 축제였지만 아일랜드인들이 대규모로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할로윈이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지금은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인들이 즐기는 축제가 되었다.
따지고 보면 할로윈은 켈트인들이 먼저 세상을 떠난 이들의 평온을 빌고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을 베풀었던 것처럼 나보다 이웃과 주위를 돌아보는 좋은 의미를 담은 행사다. 현재에도 이들은 가까운 이웃을 찾아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전 세계의 아이들을 위해 식품과 의료품을 지원하면서 뜻깊은 날을 보내는 이들도 많다. 이는 지역사회의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할로윈의 순기능이라 생각한다. 또한 할로윈에는 평소에 부정적 이미지로 인식되는 죽음과 불운, 유령, 박쥐들 마저 즐거움의 상징이 되고, 남녀노소 모두가 일상에서 벗어나 즐거운 마음으로 축제를 즐길 수 있다.
하지만 할로윈은 크리스마스와 마찬가지로 그 기원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 채 너무 상업적으로 변질됐다는 비판도 상존한다. 행사의 본래의 의미가 퇴색하고 단순히 무섭고 기괴한 복장을 하고서 먹고, 마시고, 즐기는 행사로만 소비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메르타 작가는 할로윈의 이러한 측면을 언급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성상품화와 성차별적인 인식들, 공공연히 벌어지고 있는 성범죄들을 <캔 따는 소리>에서 풍자하고 있다. 오메르타 작가는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과 사고들을 바탕으로 소설의 주요 모티브로 활용하고 있는데, 그러한 부분들이<캔 따는 소리>에도 ,여실히 드러나 있다. 작가가 ‘이 글은 허구이며, 연상되는 이름은 우연입니다.’ 라고 밝히곤 있지만 소설에서 등장하는 아이돌의 행태와 할로윈 한정음료의 효과 등에서 연상되는 사건과 인물이 대표적이다. 할로윈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생각해볼 것이 많은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