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근로자의 날을 맞이하여 읽기 좋은 내 글 홍보!

분류: 내글홍보, 글쓴이: 한켠, 18년 4월, 댓글4, 읽음: 86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이던 1923년부터 기념했죠.

네이버 시사상식 사전 : 근로자의 날

그럼 일제강점기의 노동자들은 어떻게 노동하고 투쟁했을까요?

여기, 1930년대 공장의 여성 노동자들이 노동쟁의(파업)을 하는 작품을 들고 왔습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공업은 고무신, 방직 같은 경공업 위주였습니다. 자연히 여성 노동자들이 다수였죠.

노동 조건은 열악했습니다. 하루 16시간 근무에 한 달에 하루 휴무, 그마저도 없는 공장도 많았죠.

규모가 큰 공장은 기숙사에서 노동자들을 숙식하게 했다는데, 말이 기숙사지 수용소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실업률이 높던 조선에서 공장 노동자는 그나마 돈 버는 직업이었지만 생필품을 사면 남는 게 없는 임금 수준이었고 물량이 없으면 노동자도 급여를 못 받는 ‘고통분담’을 강요당하는 형편이었습니다.

공장에선 성폭력과 폭력(감독관이 여성 노동자의 옷을 벗기고 끌고다니며 폭행했다는 기록도 있더라고요…)도 난무했습니다. 지각하거나 근무태만을 이유로 벌금을 물리기도 했습니다.(벼룩의 간을 빼먹네요)

1920년대 사회주의가 유입되고 노동자가 증가하고(여전히 조선의 주력산업은 농업이었습니다만…)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서 그렇잖아도 적은 노동자들의 임금을 ‘후려치는’ 등 노동환경이 악화되자 노동자들은 파업을 하게 되었는데요.

이 시기 절박한 노동자들은 ‘아사동맹’을 했습니다. 말 그대로 굶어죽기를 각오하고 ‘단식투쟁’을 하는 겁니다. 1923년 경성 고무공장 노동자들이 임금삭감 중단과 감독관 해고를 요구했으나 공장주는 전원해고와 이들이 다른 공장에 취업할 수 없도록 ‘블랙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으로 맞섰고 노동자들은 공장 마당에서 파업을 합니다. 영양상태가 좋지 않았던지라 노동자들이 혼절하기도 하고요 이 시기 신문기사에서도 처참하다…라고 표현할 정도였습니다. 전국에서 아사동맹 노동자들에게 성금이 답지했고 악화된 여론에 공장은 노동자들을 전원복직시킵니다.

일제강점기 대규모 노동쟁의에서 원산노련(원산노동연합회)을 빼 놓을 수는 없는데요. 원산시내 노동자들이 단결하여 총파업을 한 겁니다. 일본은 군대까지 동원해서 파업을 분쇄하려 할 정도였는데 함남노동회(어용노조 쯤 된다고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의 방해와 위협 등에 굴복한 지도부의 강경하지 못한 입장으로 인해 실패하고 맙니다.(이렇게 간략하게 쓰지만 정말 대규모의 노동운동이었습니다.)

이 시절 공산주의자들의 목표, 요구조건을 보면 지금 봐도 놀라운데요. 1930년 ‘9월 태제’의 내용 중에는 조선의 산업에 여성과 청년이 큰 역할을 하므로 이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야간작업폐지, 산전산후 휴가, 남성과 동일노동 동일임금, 탁아소 설치(여성), 6시간 노동제(성인은 8시간), 무료직업학교(청년)를 내세워야 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데. 이건 아직도 성취를 못 한 직장이 많지요…

1931년에는 ‘한국 최초의 고공농성’이 일어납니다. 평양의 고무공장 여성 노동자 강주룡이 을밀대에 올라가 “무산자의 단결과 고용주의 무리를 타매하는(동아일보)” 연설을 했습니다. 아래가 강주룡의 연설입니다.

우리는 49 우리 파업단의 임금감하를 크게 여기지는 않습니다. 이것이 결국은 평양의 2300 고무공장 직공의 임금감하의 원인이 것이므로 우리는 죽기로서 반대하려는 것입니다. 2300 우리 동무의 살이 깎이지 않기 위하여 몸뚱이가 죽는 것은 아깝지 않습니다. 내가 배워서 아는 중에 대중을 위해서는(중략) 명예스러운 일이라는 것이 가장 지식입니다. 이래서 나는 죽음을 각오하고 지붕 위에 올라왔습니다. 나는 평원고무 사장이 앞에 와서 임금감하 선언을 취소하기까지는 결코 내려가지 않겠습니다. 끝까지 임금감하를 취소치 않으면 나는 자본가의(중략)하는 근로대중을 대표하여 죽음을 명예로 뿐입니다. 그러하고 여러분, 구태여 나를 여기서(지붕) 강제로 끌어낼 생각은 마십시오. 누구든지 지붕 위에 사다리를 대놓기만 하면 나는 떨어져 죽을 뿐입니다.”(<동광> 1931 7월호, ‘중략부분은 자료에도 중략한 )

더 자세히 읽으시려면 참세상 2009.07.09. 강주룡은 감옥에서 건강이 악화되어 보석 석방 후 사망합니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의 홍염이 마지막 장면에서 ‘고공농성’을 하는 건 강주룡에게서 배운 것 같죠?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를 쓸 때 참조했던 건 부삼삼화고무공장 파업이었습니다.

1935년 부산삼화고무공장에서 ‘전격 임금인하’를 단행하자 여공들이 동맹파업을 시작했습니다. 남공들은 처음엔 같이 파업했다가 공장측에서 요구조건의의 절반을 들어준다고 하니까 복귀했고요…여직공들의 파업은 점점 번졌습니다. 노동자들은 주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절대 대표자를 내지 않고 회사측이 요구조건을 전적으로 수용할 때까지 버텼지만…공장 측이 파업하면 전원 해고하겠다고 더 강경하게 버텨서…결국 실패하고 맙니다.

일제강점기 노동자들(특히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을 기리며

저는 아직 쟁취하지 못한 하루 8시간의 노동을 꿈꾸며 일하러 갑니다…ㅠ

한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