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의’ 과거로의 시간여행은 실현 불가능하다고들 합니다. 동의합니다.
저는 2020년 쯤 시간의 가로축 개념을 떠올리고 관련 글을 써놨습니다. 얼마전 과학유튜브에서 시간의 여러축 논문이 있다고 리뷰하길래 봤더니 제 개념과는 다른 것 같았습니다. 너무 전문적이라 이해도 안됐지만요.
시간의 여러축 개념에서 나아가 과거로의 시간여행에 대한 원리도 생각해봤습니다. 여러 시간축에 존재하는 수없이 많은 사건 중에서, 전통적 시간의 앞쪽에 존재하는 것 중에 현재 위치한 사건의 전통적 시간축 선상의 뒤쪽 사건과 아주 미세하게 다른 사건을 찾아내어 이동한다면 시간역행인 것이 아닐까요? 저는 전문적인 과학지식은 없습니다. 제가 떠올린 시간의 가로축 개념은 과학보다는 사이비과학이겠네요. 미래에 과연 저의 사이비과학은 증명될까요?
*이 소설은 공모전에 참여중인 작품입니다.
*이 소설 외 참신한 소재로 2025 과학소재 단편소설 공모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대해주세요!
작가 코멘트
2025년 현재,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의’ 과거로의 시간여행은 실현 불가능하다고들 합니다. 동의합니다.
저는 2020년 쯤 시간의 가로축 개념을 떠올리고 관련 글을 써놨습니다. 얼마전 과학유튜브에서 시간의 여러축 논문이 있다고 리뷰하길래 봤더니 제 개념과는 다른 것 같았습니다. 너무 전문적이라 이해도 안됐지만요.
시간의 여러축 개념에서 나아가 과거로의 시간여행에 대한 원리도 생각해봤습니다. 여러 시간축에 존재하는 수없이 많은 사건 중에서, 전통적 시간의 앞쪽에 존재하는 것 중에 현재 위치한 사건의 전통적 시간축 선상의 뒤쪽 사건과 아주 미세하게 다른 사건을 찾아내어 이동한다면 시간역행인 것이 아닐까요? 저는 전문적인 과학지식은 없습니다. 제가 떠올린 시간의 가로축 개념은 과학보다는 사이비과학이겠네요. 미래에 과연 저의 사이비과학은 증명될까요?
*이 소설은 공모전에 참여중인 작품입니다.
*이 소설 외 참신한 소재로 2025 과학소재 단편소설 공모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대해주세요!